개발일기
[부하테스트] ngrinder 관련 정리 본문
TPS란 (처리량)
- TPS "Transactions Per Second"의 약어로, "초당 처리가능한 트랜잭션의 수"
- TPS가 100이라면 초당 처리 할 수 있는 작업이 100이다. 라고 생각하면 됨
- TPS 수치가 높을 수록 짧은 시간에 많은 작업을 처리 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.
Vuser란
- 가상 사용자(Virtual User)
- vUser10은 가상 사용자(Virtual User)가 10명을 나타낸다. 이것은 부하테스트 시나리오에서 10명의 가상 사용자가 동시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하고 있다는 의미이다.
TPS: 평균 TPS
Peak TPS: 최고 TPS
Mean Test Time : 평균 테스트 시간
Executed Tests: 테스트 실행 횟수
Successful Tests: 테스트 성공 횟수
Errors: 에러 횟수
Runtime: 테스트 실행 시간
TPS 수치는 높고 Mean Test Time은 낮을 수록 성능적으로 긍정적이다.
'photocard backend server 개발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wagger] Swagger 2.3.0 버전 세팅 (1) | 2024.12.30 |
---|---|
[모니터링 툴] 로컬에서 scouter 사용하기 (1) | 2024.12.30 |
[성능 테스트] ngrinder 부하테스트 사용방법 (0) | 2024.12.30 |
🖥️ [모니터링 툴] AWS EC2 docker-compose 그라파냐, 프로메테우스 설치 (1) | 2024.12.26 |
정적 코드 분석 AWS EC2 SonarQube 사용하여 Github Action CI 하기 (2) | 2024.12.20 |